- 신규 저장소 생성
* git 하위 디렉토리 생성, .git 생성 후 그안에서 명령을 실행 가능함
git init
2 . 저장소 복제/다운로드
* 원격 서버 저장소 코드 다운로드 /복제
git clone git@github:com:계정명/프로젝트명[repository]
* 로컬 저장소 복제
git clone /로컬/저장소/경로
3. 추가 및 확정(Commit)
* 커밋할 때 단일 파일 변경사항을 포함
git add 파일명
* 커밋할 때 파일 변경사항 한번에 모두 포함
git add -A OR git add .
* 커밋 생성(실제 변경사항 확정)
git commit -m '커밋할 내용'
* 커밋 메시지 생략
git commit -ma
* 깃 파일 상태 확인
git status
* 깃 브랜치 목록 보기
git branch
4. 깃 변경사항 발행
* 변경사항 원격 서버에 업로드
git push origin master
* 새로운 원격 서버 저장소 등록
git remote add origin 원격서버주소
* 현재 원격저장소 확인
git remote -v
* 현재 연결되어 있는 원격 저장소 제거
git remote remove origin
5. 갱신 및 병합
* 원격 저장소의 변경내용을 현재 디렉토리에 업데이트(Merge)
git pull
* 현재 브랜치에 다른 브랜치의 수정사항 병합
git merge 다른브랜치이름
* 변경내용 병합전에 바뀐 내용 비교
git diff 브랜치 다른브랜치
6. 태깅
* 현재 위치한 브랜치 커밋내용 확인
git log
7. Local 저장소 작업
* 로컬 저장소 변경사항을 변경 전으로 reset
git checkout -- 파일명 // 특정파일 git checkout . // 전부
* 원격에 저장된 git project 의 현 상태를 다운로드
git fetch origin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Large files detected. You may want to try Git Large File Storage 에러 해결 (0) | 2025.02.14 |
---|---|
[Git] gitignore 가 동작되지 않을 때 (0) | 2025.02.14 |
[Git] 기존 Repository를 복사하여 신규 Repository에 업로드하기 (0) | 2025.02.14 |
[Git] GitHub 에 프로젝트 올리기 (0) | 2025.02.14 |
[SSH] SSH-KEY를 만들어 GitHub에 등록하여 연동하자 (0) | 2025.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