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 생활에서 컴퓨터를 쓴다면 웹 사이트를 안 들어갈 수가 없을 것이다.
그 웹사이트를 들어갈 때 가장 첫 관문이 DNS (Domain Name System) 이다.
# DNS 가 만들어진 이유
주로 하는 일은 특정컴퓨터 혹은 네트워크상으로 연결된 대부분의 장치의
주소를 찾기 위해, 사람이 이해하기 쉬운 도메인 이름 숫자로된 식별부호 (IP 주소) 로 변환한다.
인터넷은 2개의 주요 공간을 관리하는데,
첫째로 도메인 네임 계층 (www.naver.com) 이고,
둘째로 인터넷 프로토콜(IP) 주소 공간이다.(235.222.X.X)
위와 같은 시스템이 나온 이유는, 과거에는 컴퓨터를 전문가만 사용하였다.
그 때는 해당 IP 주소 조합으로도 많은 IP주소를 만들어 충분히 활용 가능하였지만,
웹이 활성화되고 컴퓨터 뿐만 아니라 웹으로 접근할 수 있는 장비들이
엄청나게 많아졌기 때문에 일반인들도 웹에 쉽게 접근이 가능해졌다.
그러나 일반인들이 사이트마다 일일이 IP주소를 외우기에는 매우 번거롭고 귀찮고
생산성 없는 일이기 때문에, 사람들이 기억하기 쉽게 도메인을 만들어 접근하기 위해서이다.
# 도메인 네임 스페이스 구조
도메인 네임 스페이스의 경우 트리 형태로 구성한다.

도메인 네임 스페이스 트리 구조
위와 같이 트리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트리의 각 노드는 0개 이상 레코드를 가진다.
트리는 최상위 Zone에서 시작하여, 여러 개의 하위 Zone으로 나뉜다.
즉 하나의 네임서버가 여러 개의 존을 관리할 수 있다.
# 도메인 명명 규칙
도메인 이름은 한 개 이상의 부분(라벨) 로 이루어 지고, 점으로 구분하여 붙여 쓴다.
예) naver.com
위의 예를 봤을 때 가장 오른쪽 라벨, 즉 com은 최상위 도메인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www.naver.com 은 최상위 도메인 com에 속하는 것이다.
# 도메인 구조
도메인의 구조는 오른쪽부터 왼쪽으로 내려간다.
왼쪽의 라벨은 오른쪽의 서브 도메인이다.
즉 naver 는 com 의 서브 도메인이며, www(World Wide Web) 는 naver.com의 서브 도메인이다.
서브도메인은 최대 127단계 까지 가능하다.
각 라벨은 최대 63개 문자를 사용 가능하며, 전체 도메인 이름은 253개 문자를 초과할 수 없다.
실제로는 도메인 레지스트리에서 더 짧은 제한을 주어, 위에 적은 제한보다 더한 제약이 가해질 수 있다.
도메인이름은 원칙상 모든 문자를 사용할 수 있다고 제시되어 있지만,
대부분 DNS 루트존과 서브도메인에서는 제한된 형식과 문자들만 허용한다.
라벨에 사용될 수 있는 문자는 아스키코드로 표현가능한 문자집합과,
영문,숫자, 심지어 한글도 가능하다.
도메인의 경우 대소문자 구분없이 읽어지며, 라벨은 하이픈으로 시작하거나 끝날수없다.
(www.-naver.com) -> 불가능
(www.naver-.com) -> 불가능
# 주요 DNS 목록
DNS 를 잘못 설정하면 인터넷 이용에 차질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신뢰할 수 없는 DNS는 해킹 ,랜섬웨어 등 보안적으로 많은 문제가 노출되므로
신뢰할 수 있는 DNS 서버만 사용하는게 좋다.
아래를 보자.

주요 DNS 목록
통신사가 제공하는 DNS의 경우 서버가 한국에 소재하여 빠른 응답 속도를 보여준다.
구글과 시만텍의 경우 한국에 서버가 있지 않지만, 일본에 서버가 있어 40ms 미만의 응답속도를 보여준다.
클라우드플레어의 경우 한국에 서버를 두고 있어 응답속도가 3~5ms 로 매우 빠른 편이다.
# DDNS 의 개념 - 중요!
DNS 로도 헷갈려 죽겠는데 DDNS 는 또 뭐냐? 라고 생각하실 수도 있다만..
많은 부분이 다르지는 않다.
기본 DNS 에 앞에 D(Dynamic) 를 붙여 실시간으로 DNS 를 갱신하는 방식이다.
도메인의 IP 가 잦은 변경이 생기거나 유동적인 경우 사용된다.
즉 IP가 변경되어도 기존에 작성해놓은 도메인 네임이 바뀌거나 하지는 않아서
사용자에게 불편을 끼치는 사항을 줄이는 것이다.
대부분의 웹사이트가 이 DDNS를 사용하고 있다.
한국에서 가장 널리 쓰는 것은 EFM 네트웍스에서 ipTime 공유기 내장 기능으로 DDNS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널리 알려져 있으며 주소는 ?.iptime.org 형식으로만 사용 가능하다.
# 도메인 사용법
도메인을 사용하려면 DDNS서비스가 제공되는 네임서버 서비스 업체에 등록 후,
네임서버 서비스 업체의 레코드 IP를 갱신하는 방식으로 DDNS 서비스를 제공받아 사용할 수 있다.
그 외 다양한 정보가 있지만 ,
DNS를 잠깐 알아 보는 정도로만 기재하겠다.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