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규식에 대한 설명은 나중에 부연 설명을 하고 급하신 분들을 위해
코드를 먼저 작성하겠다.
const numberFormat = (number) => {
if (number)
return number.toString().replace(/\B(?=(\d{3})+(?!\d))/g, ",");
else if (number === 0)
return 0;
else return ''
};
console.log(numberFormat(1500));
결과 : 1,500
자바스크립트는 문자열을 넣든, 숫자형을 넣든
정상적으로 반환하지만
타입스크립트의 경우 숫자가 아닐 경우 undefined 에러가 발생하기 때문에
숫자가 아닐 경우에 대한 것도 예외처리를 해주어야 한다.
'JS' 카테고리의 다른 글
[JS] String(문자열)에 대해 알아보자 (1) | 2025.02.10 |
---|---|
[JS] null , undefined 타입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5.02.10 |
[JS]사업자 등록번호 정규표현식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5.02.10 |
소수점 자르기,반올림,올림,내림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5.02.10 |
[JS]금액을 한글로 표기해보자 (0) | 2025.0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