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환경에서는 IDE에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면 실시간으로 로그를 확인할 수 있지만

도커와 같은 배포환경에서는 로그를 확인하기 쉽지않다.

아래 명령어는 도커를 실행시키고 발생되는 로그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명령어이다.

docker logs -f --tail 10 [컨테이너명] // 뒤에 숫자 10은 라인의 갯수를 의미한다.

 

뒤의 숫자는 로그의 라인 갯수를 의미한다.

숫자를 빼도 되지만, 배포환경에서는 로그가 실시간으로 다수의 내용이 올라오기 때문에 식별이 어려워

필요한 만큼만 숫자지정을 하는 게 좋다.

 

+ Recent posts